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강원지역 소면적 작목의 경영실태 조사 분석
연구책임
한종수
등록일
2007-09-27
조회수
4330
연도
2006
연구과제명
농업경영성과 분석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60115.pdf (다운로드 수: 769)
내용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Code

 

RIMS Code

SS0101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농업경영성과 분석

농업경영
SS0101

‘03~

강원도농업기술원
작물경영연구과

한종수

 강원지역 소면적 작목의 경영실태 조사 분석

‘06~’06

색인용어

 수량, 조수입, 경영비, 소득

4. 적  요

  본 연구는 강원도내 주요 양채류(결구상추, 파슬리, 적채)재배 지역 및 전문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생산현황, 유통 및 판매, 작목별 수량, 경영비, 소득 등에 관한 조사 분석으로 양채류 재배농가의 경영개선을 기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1년간에 걸쳐 농가경영실태 및 경영성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5년 전국 양채류 생산현황은 면적이 2,327ha, 생산량은 88,42ton으로 전년 대비면적이 23%, 생산량은 14%정도 감소되었고, 재배형태별로는 시설재배가 1,130ha로 약 9%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005년 강원도 양채류 재배현황은 면적 751ha, 생산량 23,536ton으로 전국 대비 재배면적은 32.3%, 생산량은 26.6%를 차지하였다.
  3. 강원도 양채류 재배현황을 년도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2005년 양채류 면적은 751ha로 전년 대비 94.6%, 생산량이 91.4%로 수준이었다.
  4. 조사대상 주요 양채류의 재배현황은 결구상추가 면적이 380ha,생산량이 11,101ton, 파슬리는 면적 22.4ha, 생산량이 421ton, 적채가 면적 54ha, 생산량이 1,656ton으로서 이들 작목이 강원도 양채류 비율이 면적 60.7%, 생산량이 60%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5. 양채류의 포장단위는 결구상추 8kg/박스, 파슬리 4kg, 적채 16kg으로 출하되고 있으며, 유통경로는 작목별로 다소 차이는 계약재배에 의한 포전매매, 지역농협 공동 출하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6. 조사 양채류 결구상추(양상추), 파슬리, 적채의 월별 가격은 수입량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한 영향으로 전년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결구상추는 7월이, 적채는 5월이 전년보다 가격이 상승되었다.
  7. 조사 양채류의 작부체계는 시설재배에서는 년 2기작(전작+후작)으로 경영되었으나, 노지재배에서는 주 작목을 년 1기작으로 재배하고 있었다.
  8. 작목별 10a 당 소득은 결구상추 시설재배에서 1,214천원, 노지가 1,059천원, 파슬리는 시설이 4,396천원, 노지는 2,163천원, 적채는 노지재배 929천원으로 나타났다.
  9. 2인 가족노동중심의 경영규모는 결구상추는 시설 0.25ha, 노지 0.76ha, 파슬리는 시설 0.06ha, 노지 0.11ha며, 적채는 노지재배에서 0.21ha로 분석되었다.
  10. 전국평균 농가소득 30,503천원 기준 목표소득 규모는 결구상추 시설이 2.14ha, 노지가 2.41ha, 파슬리는 시설이 0.56ha, 노지가 0.71ha, 적채는 2.29ha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국평균 농업소득 11,199천원 기준 목표달성 규모는 결구상추는 시설 0.78ha, 노지  0.88ha, 파슬리는 시설 0.21ha, 노지 0.26ha, 적채는 0.84ha로 나타났다.
  11. 도시근로자 평균 근로소득액 33,622천원 기준 목표달성 규모는 결구상추 시설이 2.36ha, 노지 2.66ha, 파슬리는 시설에서 0.62ha, 노지가 0.79ha, 적채는 2.53ha였으며, 도시가구소득액 39,010천원 기준으로 목표달성규모는 결구상추 시설이 2.73ha, 노지 3.08ha, 파슬리 시설이 0.72ha, 노지 0.91ha, 적채는 2.93ha로 분석되었다.
  12. 양채류의 틈새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활용한 공동포장, 선별로 출하시장의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특히 지역별 고유브랜드 개발은 금후 수입산 농산물과의 차별화 전략으로 지역 및 국내산 농산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모색되었다.
    
ares06011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