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논문게재자료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제목
석회암지대 농업용수의 특성 및 농업용수가 농약의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안문섭
등록일
2003-02-26
조회수
6766
연도
2002
수록잡지
한국농약과학회(2002.10.10)
공동발표자
임상현외
내용
 

석회암지대 농업용수의 특성 및 농업용수가 농약의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

안문섭, 임상현, 김경희, 김성문1

강원도농업기술원, 1강원대학교

발표학회 : 한국농약과학회(2002.10.10)

  강원도 석회암지대에서는 관정을 통해 얻은 지하수를 주로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 지역 농업용수가 농약의 안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석회암지대의 관정 지하수의 특성을 조사하고, 지하수가 이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안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 강릉시의 석회암을 모암으로 하는 95개 관정으로부터 각각 2002년 4월, 6월, 8월 관정수를 채취한 후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석회암지대 농업용수는 타지역 농업용수와 비교하여 높은 pH, EC 값, 중탄산 함량, 마그네슘과 칼슘 함량을 나타내었다. 영월지역에서 6월 채취한 관정수의 평균 pH는 7.5  0.2이었고, EC 값은 305 S/cm, 중탄산은 98.58 ppm, 마그네슘은 15.35 ppm, 칼슘은 66.85 ppm 이었다. 타 조사지역 농업용수의 분석결과 역시 영월지역 농업용수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모든 조사항목 중 계절적인 변이는 단지 NH4-N과 NO3-N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농업에 사용된 질소원이 지하수에 유입되어 나타난 것이라 판단된다. 농업용수가 농약의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농약의 물리성과 약효약해를 조사하였다. 농업용수가 농약의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H(6, 7, 8, 9)와 EC(75, 150, 400, 650, 900 S/cm)가 서로 다른 경도수에 강원도 석회암지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 1종(밧사), 살균제 6종(빔, 빈나리, 일품, 다이센엠45, 포룸, 삼공스포탁), 제초제 5종(파라코, 나브, 라운드엎, 뉴원싸이드)의 물리적 성질(유화성, 수용성, 수화성, 분말도)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조합의 경도수는 농약의 물리적 성질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농업용수가 농약의 약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5-6엽기의 배추에 pH와 EC가 서로 다른 경도수에 녹인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기준량을 경엽에 처리하였다. 모든 살충제, 살균제와 제초제 중 뉴원싸이드와 나브에 처리된 배추는 약해를 나타내지 않아 처리용수의 pH와 EC는 이들 농약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400 S/cm의 경도수에 녹인 파라코는 pH 6, 7, 8에서 약해가 70, 47, 40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약해 100, 완전고사; 0, 무해). 농업용수가 농약의 약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H와 EC가 서로 다른 경도수에 녹인 기준량의 파라코, 라운드업, 나브, 뉴원싸이드를 2엽기의 옥수수, 물피, 바랭이에 경엽처리하였다. 뉴원싸이드의 경우 옥수수, 물피, 바랭이를 100% 방제하였지만, 나브의 경우 뉴원싸이드와 비교하여 낮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400 S/cm의 경도수에 녹인 나브의 옥수수에 대한 약효는 pH 6, 7, 8 조건에서 각각 40, 90, 90이었고(약효 100, 완전방제; 0, 효과없음), 물피에 대한 약효는 각각 10, 20, 17이었으며, 바랭이에 대한 약효는 각각 20, 40, 50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파라코의 경우에는 나브와는 달리 pH가 증가할수록 약효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경도수의 pH에 따라 특정농약의 약효가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