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42호 주간농사정보(10.27~11.2.)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7.1~8.9℃, 영동 9.9~11.7℃)과 비슷하거나 낮음
• (강수량) 평년(영서 2.8~12.5㎜, 영동 1.3~8.9㎜)과 비슷하거나 적음
• (저수율) 88.7% (평년 79.2%보다 높음) ※ 10. 22. 기준
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토양검정)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 농업기술센터에서 시비처방서 발급
•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관리 실시
밭작물
•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 (유채) 건조한 토양 관수, 유묘기에 솎음작업 또는 보식 실시
채소
• (가을배추‧무) 생육 부진 시 요소 0.2%액 살포, 결구상태 및 시세에 따라 출하
•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 11월 중순~12월 중순 땅이 얼기 전에 비닐 덮음
• (시설채소) 흰가루병, 총채벌레, 가루이, 작은뿌리파리 등 발생 초기 방제
• (딸기) 야간온도 5℃ 이상 유지, 개화기 잎 5~6매 확보, 개화초기 수정벌 투입
과수
• (수확) 생과 출하용(과정부 6, 과저부 5), 저장용(과정부 5, 과저부 4) 색도계 사용
• (예건) 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 (예냉) 수확 후 20일 정도 0℃ 저온처리로 품온 하강
• (저장) 입고 전 저장고 온도 0℃, 습도 90%, 최대적재량 저장고 부피 70∼80% 유지
화훼
• (장미) 시설 내 온도 관리를 위해 난방 시작, 밤 온도 15~18℃로 관리,일교차가 커지면 온실 내 습도 높아질 수 있으므로 습도관리 유의
특작
• (인삼) 노동력 분산을 위해 파종 직후 해가림 시설을 가설하고, 이듬해 봄철 발아기에 피복물을 설치함
• (약용) 구릿대는 중북부지역은 가을파종을 하는 것이 좋으며, 우슬과 고본은 잎이 누렇게 변할 때 뿌리가 상하지 않게 수확함
축산
• (한우사양) 4가지 현대사양기술: 질적생산/기능성식품/기계화/친환경자원순환
• (양돈사양) 번식능력, 강건성, 고기 생산능력, 수퇘지·암퇘지 선발조건
• (환절기) 한우는 송아지 초유섭취, 양돈은 밀집사육주의, 계사는 일정온도, 적정습도 유지
※ 의심축 발생 시 신고(1588-9060, 1588-4060),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기간(25.10~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