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41호 주간농사정보(10.20~10.26.)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9.4~11.2℃, 영동 11.8~13.2℃)과 비슷하거나 낮음
• (강수량) 평년(영서 2.0~10.4㎜, 영동 2.3~12.5㎜)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저수율) 90.7% (평년 79.2%보다 높음) ※ 10. 15. 기준
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관리 실시
밭작물
•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채소
•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 피복 및 노균병 예방적 방제
• (시설채소) 보일러 등 난방시설 점검, 난방용 연료 준비, 환기로 적정습도 유지
• (딸기) 해 지기 전후 3~4시간 동안 당을 과실로 보내야 하므로 13~15℃ 유지, 새벽 최저온도 5~6℃ 관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과수
• (수확방법) 햇볕이 잘 드는 곳부터 3∼4회 분산 수확, 수확 시 꽃눈 주의 등
• (사과) 장기저장용(10월 20~25일), 단기저장·판매용(10월30일~11월5일) 수확
• (단감) 컬러차트 색도가 과정부 6(등적색), 과저부 5(등황색)일 때 수확,꼭지들림과 발생이 심한 과원은 꼭지들림 발생 하기 전 적기 수확
화훼
• (국화) 개화 조절하기 위한 전조와 단일처리 필요, 전조재배에서는 충분한 꽃대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등을 비추어서 장일 상태로 만들어 개화를 억제함
특작
• (인삼) 묘삼 가을정식은 봄철 노동력 집중을 피할 수 있고 모종삼의 조기 발뇌를 막을 수 있으나 상면이 건조하면 출아율이 떨어지므로 주의함
• (약용) 강활은 가을에 종근의 크기가 0.8cm이하인 중묘나 소묘를 심고, 시호는 봄파종 보다 가을파종의 발아율이 높음
축산
•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검출지역과 서식지 입산 자제, 출입구 및 외부 집중 소독
• (환절기 정비) 저하된 면역력 향상과 가축 건강을 위해 축사 내부 청결 주의
• (동계 사료작물파종) 파종시기가 생산량, 수확시기 영향. 품종별 적정 시기 확인
*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기간(25.10.~26.2.), 의심축 발생 시 신고(1588-9060, 1588-4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