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고산 자생화훼 개발연구
연구책임
고재영
등록일
2005-05-24
조회수
2149
연도
2004
연구과제명
고산 자생식물 이용 자원화 연구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s050902_고산 자생화훼.pdf (다운로드 수: 726)
내용
사업구분 : 경상기본Code 구분 :
LS0209
화훼(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고산자생식물 이용 자원화 연구’03~’08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고재영
1) 고산 자생화훼 개발연구’03~’04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고재영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권혜정
색인용어자생화훼, 물싸리, 흰일월비비추, 삽목, 상토, 관수, pH


[적 요 ]

본 시험은 물싸리(Potentilla fruticosa L.)와 흰일월비비추(Hosta capitata for. albiflora Y. Lee.)의 번식 및 분화 생산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 (시험 1) 물싸리 삽목방법 개발
    • 삽목시기는 4월 16일 삽목시 근수 3.8개, 신초수 5.3개로 가장 많았으며 발근율도 85%로 높았다. 4월중순 생장조정제 처리농도는 IBA 1,000ppm 1시간 처리시 근수 36.8개, 생체중 0.78g로 효과적이었다. 7월상순 생장조정제 처리시는 IBA 2,000ppm 30초, 4,000ppm 10분 처리시 근수 15∼16.5개로 효과적이었다.
  • (시험 2) 분화재배를 위한 적정 상토 및 관수방법 개발
    • 물싸리의 상토종류별 생육은 마사토:부엽토:펄라이트 = 4:2:4 처리에서 초장 5.9cm로 가장 컸으나, 측지수는 마사토:부엽토:피트모스 = 4:2:4 처리가 5.1개로 많고, 건물중 1.6g으로 가장 무거웠다. 물싸리 관수방법은 저면관수시 초장 8.4cm, 초폭 25.1cm로 가장 크고, 측지수도 4.1개로 가장 많았다. 생체중 및 건물중은 저면관수 20분 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 흰일월비비추의 상토종류별 생육은 마사토:부엽토:피트모스 = 4:2:4 처리시 엽수 5.5개로 많고, 생체중 1.9g으로 가장 무거웠다. 흰일월비비추의 관수방법별로 두상관수에서 초장 4.2cm, 엽장 6.4cm로 가장 컸으며, 생체중 및 건물중도 가장 무거웠다.
  • (시험 3) 분화상토 pH별 생육변화
    • 물싸리의 pH별 생육은 초장은 pH 7, 초폭은 pH 6에서 크고, pH 8에서 측지수가 3.6개로 많았으며, 건물중은 3.4g으로 가장 무거웠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pH에 대한 생육효과는 적었다.
    • 흰일월비비추는 pH 4에서 초장 3.5cm, 엽장 5.8cm, 엽폭 2.2cm로 가장 컸다.
s050902_고산 자생화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