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널정보: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과학회지 한국식품과학회지 제52권 제1호 KCI등재 SCOPUS 발행연도 2020.2 수록면 67 - 74 (8page)
○ 발행연도: 2020. 2.
○ 수록면: 67~74(8page)
초록 · 키워드
본 연구에서는 아스파라거스의 부위별 비타민 C, 루틴, 사포닌, 글루타티온, 아스파라긴산,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α-amylase 저해활성, Nitric oxide (NO) 생성량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한 결과 아스파라거스는 부위별로 성분함량이 다르게 관찰되었는데 Ca 과 Mg, Mn은 잎에서 높았고, K은 순 상부 25 cm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뿌리에서는 Fe과 Na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타민 C과 루틴,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에서 많았으며, 아스파라긴과 글루타티온은 각각 뿌리와 순 상부 25 cm에서 유의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순 하부 5 cm 부위에는 사포닌 함량(12.42%)이 다른 부위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스파라거스 잎의 DPPH, ABTS radical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44.52, 15.58%로 줄기(23.41, 8.10%), 뿌리(18.57, 2.92%), 순 하부 5 cm (10.35, 7.16%), 순 상부 25 cm (8.14, 10.33%)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부위별 α-amylase에서는 순하부 5 cm (79.16%)가 다른 부위보다 저해능이 높았고, 순 하부 5 cm (12.93 μM), 순 상부 25 cm (12.10 μM), 뿌리(11.68 μM), 잎(10.43 μM), 줄기(9.70 μM) 순으로 LPS 처리군에 비해 NO 생성이 유의하게 저해되었다(p<0.001). 본 연구를 통해 아스파라거스의 부위에 따른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국내에서는 순 25 cm만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들은 농가에서 부산물로 버려진다. 줄기와 뿌리는 다른 부위보다 아스파라긴함량이 높았고, 유통상의 이유로 버려지는 순 5 cm에는 사포닌함량이 많았다. 또한, 잎에는 다른 부위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 비타민 C와 루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생리활성 소재로 개발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생리활성물질이 많은 다른 부위들의 활용대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various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asparagu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a content was high in the leaves, K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top 25 cm of the spear, and Fe and Na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roots. The ascorbic acid, rutin,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 in the leaves, and the asparagine and glutathio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top 25 cm of the spear and roots, respectively. The bottom 5 cm of the spear ha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compared with all other part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the leaves. The bottom 5 cm of the spear had the highest α- amylase inhibitory activity, whereas the stem showed the high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ually inedible parts of asparagus may be highly valuable as high-quality functional components owing to their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