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18.7~20.1℃, 영동 19.0~20.4℃)보다 대체로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8.7~36.7㎜, 영동 9.6~45.5㎜)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저수율) 56.6% (평년 77.8%보다 낮음) ※ 9. 4. 기준
벼
• (후기 논 관리) 쌀 품질 향상을 위해 완전 물떼기는 출수 후 35일경 적기
• (수확 후 건조) 일반용은 45~50℃에서,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호흡량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안정 수분함량 약 15%까지 건조
밭작물
• (수확) 수수, 기장 등 적기 수확하여 뒷그루 작물의 파종에 늦어지지 않도록 함
• (풋거름 작물) 헤어리베치는 중·북부 지역은 9월 하순, 남부지역은 10월 상순 파종
채소
• (고추) 탄저병 예찰 강화, 홍고추 제때 수확, 수확 후 2∼3일 정도 후숙
• (가을배추‧무) 잦은 강우로 정식기를 놓친 지역은 빨리 정식
• (마늘‧양파) 마늘 씨마늘 준비, 양파 육묘기 잘록병 방제
과수
• (과실수확) 잘 익은 과실만 골라 여러 차례 나누어 수확, 신품종 적기 수확
• (품질관리) 조생종 수확 10~15일 전, 만생종 수확 30일 전후로 봉지 벗김
• (사전관리) 수확기 태풍, 집중호우, 강풍 대비 지지대 보강, 열매 가지 고정,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풍망 점검, 배수로 정비 및 경사지 비닐 피복
• (사후관리) 부러진 가지는 잘라낸 후 보호제 발라주고 살균제 살포,쓰러진 나무는 뿌리가 손상되지 않게 세우고 보조지주 설치
화훼
• (프리지아) 촉성재배 위해서 고온처리와 훈연처리에 의한 휴면타파, 휴면타파 후에는 저온처리 필요
특작
• (약용작물) 작약은 세근이 발생하기 전후에 수확하는 것이 품질이 좋으며, 율무는 전체 종실이 70~80% 익었을 때 수확
• (느타리버섯) 가을 재배는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므로 버섯모양과 균상상태를 확인하여 품종별 특성에 맞는 온·습도 조절로 기형버섯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축산
• (한우음수) 13∼18개월 비육 전기 29L, 암소 송아지 15L
• (양돈음수) 물 섭취량이 사료 섭취량의 3∼5배로 충분한 물 공급하기
• (축사정비) 면역력 저하 가축 건강을 위한 축사 내부 청결 향상
• (가공업) 축산물 상·하차 작업시, 위생복·위생모·위생화·위생장갑 착용
• (사료작물재배) 품종특성 확인 후 적정시기 파종(생산량·수확시기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