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술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22.4~23.8℃, 영동 22.2~23.8℃)보다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33.3~75.5㎜, 영동 27.3~92.9㎜)과 비슷하거나 적음
• (저수율) 57.9% (평년 77.1%보다 낮음) ※ 8. 14. 기준
벼
• (물관리) 출수기 벼는 3~4㎝ 보통 물대기, 조생종 등 등숙기에는 물 걸러 대기를 하고, 쌀 품질과 관련 있는 물떼기는 출수 후 35일 전∙후에 실시
• (병해충 방제) 여름철 고온다습한 시기에 공동방제 등 적기방제 실시
밭작물
• (콩) 콩 습해피해 예방과 잎 따주기, 잎줄기마름병, 노린재 방제
• (가을감자) 중부지방은 8월 상∼중순, 남부지방은 8월 중∼하순 파종적기
• (고구마) 일조 부족 또는 지상부 웃자랄 경우 칼리질 비료 엽면시비
• (참깨) 1모작 적기수확, 2모작 순지르기 실시
• (수수) 출수기 이삭곰팡이병, 담배나방 적기방제 실시
채소
• (가을 배추‧무) 배추 본 잎 3~4매 때 아주심기, 무 본 잎 4~5매 때 솎아줌
• (고추) 탄저병 방제 철저, 표면이 진홍색이며 주름 생겼을 때 수확
• (고랭지 배추‧무) 무름병 및 칼슘결핍 예방(칼슘제 5일간격 3회 엽면시비)
• (마늘‧양파) 난지형 마늘은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 파종 적기. 양파 육묘 시 본잎 2~3장 될 때 묘 1cm 간격으로 남기고 솎음실시
과수
• (과원관리) 웃자란 가지 유인 또는 제거하여 햇빛 투광량 증대, 잎 따주기와 과일 돌려주기, 반사필름 피복, 수확 전 수분관리를 통한 착색증진
• (기상재해) 수확기 태풍, 집중호우, 강풍 대비 지지대 보강, 열매 가지 고정,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풍망 점검, 배수로 정비 및 토양유실 방지
화훼
• (국화) 12월 하순에 출하를 계획하는 경우 8월 하순부터 전조재배 필요
특작
• (인삼) 수확 전이라도 집중호우로 6시간 이상 침수된 인삼은 미근이 자라지 않도록 바로 수확하여 피해 최소화
• (약용작물) 집중호우로 침수상태가 지속되어 뿌리 활력이 저하되었을 때, 토양 전염성 병해 발병이 쉬우므로 배수 관리 철저
• (버섯) 집중호우로 침수된 재배사는 물빼기 작업과 배수로 정비, 침수된 느타리버섯 균상은 폐기 후 신규 재배 추진
축산
• (여름철 가축환경) 폭염대비 사양기술 제공 ☞ 가축사육기상정보시스템
• (호우대비) 축사 주변 및 배수로 정비, 침수되면 물을 빼고 소독제 살포 등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