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업현장정보

농업현장정보

본문 시작
제목
2025년 제28호 강원 주간농사정보(7. 21. ~7. 27.)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07-21
조회수
21
연도
2025
내용

핵심기술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23.5~25.1℃, 영동 23.0~25.4℃)보다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27.7~96.1㎜, 영동 21.9~47.0㎜)과 적음

• (저수율) 57.9% (평년 73%보다 낮음)  ※ 7. 18. 기준


• (본답관리) 벼 이삭이 생기는 시기부터 팰 때까지 논물 걸러대기 실시, 이삭 패기 전 전용복비 시용

• (병해충관리) 벼멸구, 잎도열병 우려로 조생종벼 출수 전 전용약제 초기 방제


밭작물

• (고온대비) 스프링클러 가동, 토양 피복으로 지온 상승 억제, 고온성 해충 발생 증가에 대비해 예찰 및 방제 실시

• (콩) 생육상황 고려 웃거름 시비, 병해충 방제 철저, 나방류 적기 방제

• (옥수수) 적기수확, 풋옥수수 소비자 공급까지 저온 유지

• (가을감자) 적기 심기, 고온기 파종 방법, 비료주기

• (참깨) 고온기 진딧물 방제, 순지르기, 역병, 잎마름병 위주의 중점방제


채소

• (고추) 생육이 연약한 포장은 요소 0.2%액이나 제4종 복합비료 살포

• (고랭지 배추‧무) 무름병, 석회결핍, 진딧물 방제 등 폭염대비 관리

• (시설채소) 7~8월 딸기 자묘육성 및 화아분화 촉진, 차광‧환기로 고온 대비


과수

• (집중호우·태풍대비) 배수로 정비, 경사지 과원 토양유실 방지, 방풍수·방풍망 등 점검

  - 사후대책: 침수된 과원 배수로 정비, 흙 앙금은 씻어주고 병든 과실은 제거

• (발생조건) 사과 겹무늬썩음병(25~35℃, 8시간), 갈색무늬병(16~28℃) 발병

  복숭아 잿빛무늬병(7월 고온, 강우), 포도 노균병(22∼24℃, 습도 95%) 발병

• (햇볕데임) 일 최고기온 31℃ 이상 맑은 날 발생, 양광면 음광면에 비해 10℃ 높음

  - 예방대책: 적절한 가지 배치를 통한 일소피해 예방, 미세살수장치 가동 필요

• (하계전정) 웃자람가지 제거로 일조량 확보, 7월 중순경 전정 통한 꽃눈형성


특작

• (인삼) 개갑 처리는 8월 5일을 넘기지 않도록 하고, 인삼 예정지 관리는 7~9월 고온기때 자주 깊이 경운하여 토양소독 및 인삼 뿌리 발육 촉진

• (약용작물) 뿌리를 이용하는 약용작물은 꽃대를 제거해 주고, 병해와 해충 발생이 많으므로 발병 초기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방제함

• (느타리버섯) 가을 재배를 하려는 농가는 균이 자라는 20~30일을 감안하여 종균, 우량배지 등 미리 준비하여 재배에 차질이 없도록함


축산

•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 (폭염)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냉방시설 가동 및 환기 실시, 깨끗한 물 급여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양봉

• (폭염 벌무리관리) 설탕물을 매주 3회 정도 1회에 1~2ℓ씩 공급

• (구왕교체 및 인공봉분) 계속해서 왕대 유입하여 신왕을 유입

• (병해충 관리) 종합 방제하여 꿀벌응애 증식 억제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