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정보 요약
• (기상) 평년(영서 22.1~23.5℃, 영동 21.1~23.1℃)보다 비슷하거나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27.9~77.1㎜, 영동 25.6~70.5㎜)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저수율) 51.6% (평년 63.0%보다 낮음) ※ 7. 2. 기준
벼
• (본답관리) 이삭 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중간물떼기 실시
• (병해충방제) 먹노린재, 도열병 등 병해충 수시 예찰 및 적기 방제
• (집중호우 대비) 논·밭두렁, 제방, 배수로 등 사전점검 및 정비
밭작물
• (고온대비) 스프링클러 가동, 토양 피복으로 지온 상승 억제, 고온성 해충 발생 증가에 대비해 예찰 및 방제 실시
• (콩) 고온이 지속되면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이 밀도가 증가하므로 적용 약제 살포
• (참깨) 잘록병, 역병, 시들음병, 잎마름병 등 예방 위주 방제
채소
• (고추) 고온 대비 토양 수분 유지, 역병, 탄저병 등 병해충 방제,
• (여름배추·무) 석회결핍 예방, 뿌리혹병, 무름병 등 약제 살포
• (시설채소) 고온 대비 환기팬 가동 및 차광, 병해충 방제 및 엽면시비 실시
과수
• (햇볕데임) 일 최고기온 31℃ 이상 맑은 날 발생, 양광면 음광면에 비해 10℃ 높음
- 적절한 가지 배치를 통한 일소피해 예방, 미세살수장치 가동 필요
• (장마·태풍대비) 배수로 정비, 경사지 과원 토양유실 방지, 방풍수·방풍망 등 점검
- 침수된 과원 배수로 정비, 흙 앙금은 씻어주고 병든 과실은 제거
• (병해충 방제)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잿빛무늬병, 노균병 등 사전예방 약제 살포
특작
• (인삼 채종) 7월 초~하순까지 홍숙된 열매만을 골라 채종하고, 채종 종자는 체를 이용해 4mm 이상의 종자를 선별하여 사용함
• (오미자) 비 오기 전이나 비 온 직후에 웃거름을 주고, 살균제와 살충제를 혼합하여 점무늬, 탄저병, 깍지벌레, 자벌레 등을 방제해줌
• (버섯) 높아진 온·습도로 인한 병해 발생에 주의하고, 수확이 완료된 재배사는 증기열 등으로 소독을 철저히 해줌
축산
• (고온대비)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냉방시설 가동 및 환기 실시, 깨끗한 물 급여
•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양봉
• (사육관리) 꿀벌이 벌통 내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벌통 입구에 급수기 설치
• (구왕 교체 및 인공분봉) 교미상 조성과 인공분봉 증식, 꿀벌응애류 및 부저병 집중 방제